전체 글43 폴더블 아이폰 나오나...아이폰 2개 붙여놓은 모양? 폴더블 아이폰, 두 개의 아이폰 에어를 붙인 모습일 수도폴더블 아이폰 출시가 기정사실처럼 여겨지는 가운데, 내년 말 출시 가능성과 함께 그 구체적인 모습에 대한 정보가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마크 거먼이 최신 파워 온 뉴스레터에서 전한 바에 따르면, 폴더블 아이폰은 두 개의 아이폰 에어를 붙여놓은 것과 같은 형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얇지만 견고한 설계의 딜레마이는 상당히 얇은 디자인을 의미하지만, 아이폰 에어의 두께가 5.6mm인 점을 고려하면 픽셀 10 프로 폴드(10.8mm)나 갤럭시 Z 폴드7(8.9mm)보다는 두꺼울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소식통들은 폴더블 아이폰이 펼쳤을 때 훨씬 더 얇아질 것이라고 전하며, 최소 4.5mm까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다만 아쉽게도 거먼은 폴더블 .. 2025. 9. 22. 중국 견제구 계속 날리는 트럼프...'틱톡 거래' 지연 이유는? '중국 견제' 트럼프의 야심 '틱톡 딜', 과연 성사될 것인가? 중국과 미국이 바이트댄스의 틱톡 미국 컨소시엄 매각 승인에 대해 "진전을 이뤘다"고 발표했지만, 9개월째 지연되고 있는 법적 요구사항의 완수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월요일 잠정 합의가 이뤄졌고 금요일 승인이 나올 것이라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발표는, 현재 상황을 모호하게 만들고 구체적 내용은 뼈대만 남긴 채 업데이트되었다.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에 이렇게 게시했다. "시진핑 중국 주석과 매우 생산적인 통화를 마쳤다. 무역, 펜타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료 필요성, 그리고 틱톡 딜 승인을 포함한 많은 중요한 현안에서 진전을 이뤘다." 그는 10월 한국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서 시진핑과 만날 것이라고 .. 2025. 9. 22. 애플 리퀴드 글래스 업데이트..."술에 취한듯" "어지러워" 혹평 디자인과 인간공학의 딜레마: iOS 26 '리퀴드 글래스'가 던진 혼란혁신과 불편함 사이의 경계선애플의 최신 운영체제 iOS 26에 도입된 '리퀴드 글래스(Liquid Glass)' 디자인이 출시 48시간 만에 예상치 못한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사용자들이 앱 아이콘이 기울어져 보이는 착시 현상으로 인해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으며, 일부는 "술에 취한 기분"이라고까지 표현하고 있다. 이는 기술 혁신이 때로는 인간의 시각적 인지 능력과 충돌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로 평가된다.글로벌 사용자 반응의 스펙트럼Reddit에서 관련 게시물이 3,000개 이상의 추천을 받으며 화제가 되었고 소셜미디어 전반에 걸쳐 비판적 의견이 확산되고 있다. 한 사용자는 "유리 디자인이 무겁고 정신적.. 2025. 9. 18. '원화 스테이블코인' 들고나온 위메이드…"K금융 세계화 리드" K-금융의 새로운 도전: 위메이드의 스테이블코인 플랫폼 도전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의 배경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달러 중심으로 재편되는 가운데, 국내 게임업계 선두주자 위메이드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지난 18일 발표된 '스테이블 원(STABLE ONE)' 메인넷은 단순한 기술적 혁신을 넘어, 한국 금융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포석으로 해석된다.현재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USDT, USDC 등 달러 기반 코인들이 압도적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등장은 국내 금융시장의 자주성 확보와 아시아 지역 내 금융 허브로서의 위상 강화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기술적 차별화와 공공성 강조위메이드가 제시한 스테이블 원의 .. 2025. 9. 18. SK텔레콤, 오픈AI와 공동 프로모션... 이용자에 챗GPT 플러스 할인 SK텔레콤 이용자, 챗GTP 플러스 쓴다…B2C 협력 SK텔레콤이 글로벌 AI 기업 OpenAI(오픈AI)와 손잡고 국내 통신사 중 유일하게 B2C 협력에 나선다. SK텔레콤은 OpenAI의 한국 오피스 출범을 계기로 양사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한국이 AI 인프라와 정부 정책 지원, 높은 기술 수용성을 갖춘 'AI 풀스택(Full-stack) 국가'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AI 서비스 확장을 의미한다는 것이 SK 측 설명.SK텔레콤과 OpenAI는 그동안 2023년 글로벌 AI 해커톤 공동 개최, 올해 2월부터 MIT GenAI Impact Consortium 창립 멤버 참여 등으로 신뢰를 쌓아왔다. 이를 기반으로 이번 협력은 한층 강화된 마케팅 및 서비스.. 2025. 9. 16. 네이버웹툰-디즈니, 글로벌 만화 플랫폼 만든다…마블 등 3만5000편 서비스 네이버웹툰-디즈니, 글로벌 만화 플랫폼 만든다…마블 등 3만5000편 서비스네이버웹툰과 디즈니가 손잡고 새로운 만화 플랫폼을 만든다. 네이버웹툰의 미국 본사인 웹툰 엔터테인먼트는 15일(현지시간) 월트디즈니컴퍼니와 새 디지털 만화 플랫폼 개발을 위한 비구속적 조건 합의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디즈니는 플랫폼 개발 협력을 위해 웹툰 엔터의 지분 2%를 인수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팬들은 3만5000 편 이상에 달하는 마블, 스타워즈, 디즈니, 픽사, 20세기 스튜디오의 만화들을 하나의 디지털 구독 서비스에서 최초로 즐길 수 있게 된다. 이 가운데 일부는 세로 스크롤 방식 웹툰으로, 일부는 기존 만화책 형식을 디지털화하는 형태로 서비스한다. 웹툰 엔터가 플랫폼 개발과 운영을 맡으며, 네이버웹툰이 북미에서 발.. 2025. 9. 16. 이전 1 2 3 4 ··· 8 다음